TIL💡/Network(24)
-
[네트워크] 서브넷과 게이트웨이
초기 네트워크는 모든 단말이 하나의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로컬 네트워크(LAN)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통신하는 방법이 매우 간단했다. 이메일과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작은 LAN 네트워크들이 하나의 큰 네트워크로 묶이면서 먼 거리에 있는 다른 LAN 간의 통신이 중요해졌다.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의 통신과 원격지 네트워크 간의 통신은 동작 방식이나 필요한 네트워크 장비가 모두 다르다. 원격지 네트워크와의 통신에 사용하는 장비를 게이트웨이라고 부르고 3계층 장비(라우터와 L3 스위치)가 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서브넷과 게이트웨이의 용도 로컬 네트워크에서는 ARP 브로드캐스트를 이용해 도착지 MAC 주소를 학습할 수 있고 이 MAC 주소를 이용해 직접 통신할 수 있지만 원격 네트워크 통신은 네트워크를 넘어 전달되..
2022.05.22 -
[네트워크] ARP
OSI 7계층 중 2,3계층이 주소를 가지고 있고 통신할 때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하지만 사실 2계층 MAC 주소와 3계층 IP 주소 간에는 아무 관계가 없다. MAC 주소는 하드웨어 생산업체가 임의적으로 할당한 주소이고 NIC에 종속된 주소이다. 3계층 IP 주소는 우리가 직접할당하거나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를 이용해 자동으로 할당받는다. 즉 IP는 고정이 아니다. 실제로 통신은 IP 주소 기반으로 일어나고 MAC 주소는 상대방의 주소를 자동으로 알아내 통신하게 된다. 이때 상대방의 MAC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이다. ARP란? 데이터 통신을..
2022.05.22 -
[네트워크] TCP와 UDP
앞에서 설명한 2,3계층은 목적지를 정확히 찾아가기 위한 주소 제공이 목적이었지만 4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은 목적이 2,3계층 프로토콜과 조금 다르다. 목적지 단말 안에서 동작하는 여러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 중 통신해야 할 목적지 프로세스를 정확히 찾아가고 패킷 순서가 바뀌지 않도록 잘 조합해 원래 데이터를 잘 만들어내기 위한 역할을 한다. 4계층 프로토콜(TCP, UDP)과 서비스 포트 데이터를 보내고 받는 인캡슐레이션, 디캡슐레이션 과정에 각 계층에서 정의하는 헤더가 추가되고 여러 가지 정보가 들어간다. 다양한 정보 중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정보는 아래와 같다. ✔︎ 각 계층에서 정의하는 정보 ✔︎ 상위 프로토콜 지시자 정보 각 계층을 정의하는 정보는 수신 특의 동일 계층에서 사용하기 위한 정보이..
2022.05.22 -
[네트워크] 네트워크 주소 개념(MAC 주소, IP 주소)
네트워크 통신 방식 네트워크에서 출발지에서 목적지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통신 방식 유니캐스트 ✔︎ 1 : 1 통신 ✔︎ 출발지와 목적지가 1 : 1로 통신 브로드캐스트 ✔︎ 1 : 모든 통신 ✔︎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호스트가 목적지 멀티캐스트 ✔︎ 1 : 그룹(멀티 캐스트 구독 호스트) 통신 ✔︎ 하나의 출발지에서 다수의 특정 목적지로 데이터 전송 → IPTV와 같은 실시간 방송 / 사내 방송이네 증권 시세 전송과 같이 단방향으로 다수에게 동시에 같은 내용을 전달해야할 때 애니캐스트 ✔︎ 1 : 1 통신(목적지는 동일 그룹 내의 1개 호스트) ✔︎ 다수의 동일 그룹 중 가장 가까운 호스트에서 응답 → 가장 가까운 DNS 서버를 찾을 때 / 가장 가까운 게이트웨이를 찾을 때 사용 ✔︎..
2022.05.20 -
[네트워크] OSI 7계층 vs. TCP/IP 계층
등장 배경 과거에는 통신용 규약이 표준화되지 않았고 각 벤더에서 별도로 개발했기 때문에 호환되지 않는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이 많았고 통신이 불가능했다. 이를 하나의 규약으로 통합하려는 노력이 현재의 OSI 7계층으로 남아 있다. OSI 7계층이 네트워크 동작을 나누어 이해하고 개발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므로 네트워크의 주요 레퍼런스 모델로 활용되고 있지만 현재는 대부분의 프로토콜이 TCP/IP 프로토콜 스택 기반으로 되어 있다. 복잡한 데이터 전송 과정을 OSI 7계층으로 나누어 보면 이해하기 쉽다. 또한 계층별로 표준화된 프로토콜 템플릿을 통해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전부 개발하는 대신 계층별로 프로토콜을 개발해 네트워크 구성 요소들을 모듈화할 수 있다. 모듈화된 요소는 기존에 개발된 프로토콜과 연동해 ..
2022.05.18 -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배경
규정이나 규약과 관련된 내용을 언급할 때 프로토콜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네트워크에서도 통신할 때의 규약을 프로토콜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프로토콜은 어떤 표준 혐회나 워킹 그룹이 만들었는지 또는 회사에서 사용하느냐에 따라 특징이 많이 달라지고 다양한 프로토콜이 존재해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복잡하고 산재되어 있던 여러 가지 프로토콜 기술이 이더넷-TCP/IP 기반 프로토콜들로 변경되고 있다. 📌 물리적 측면: 데이터 전송 매체, 신호 규약, 회선 규격 등. 이더넷이 널리 쓰인다. 📌 논리적 측면: 장치들끼리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규격. TCP/IP가 널리 쓰인다. 왜 프로토콜이 필요한가? 한정된 자원으로 통신을 수행해야 하다 보니 최대한 적은 데이터를 이용해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사용해야 했다...
2022.05.17